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공 지뢰

덤프버전 :

||


1. 개요
2. 상세
3. 업데이트 내역
4. 기타


1. 개요[편집]


파일:Seeking_Air_Mine_info.png

저게... 새인가요? 비행기인가요? 뭐... 어차피 대공 지뢰가 추적해서 하늘 저 너머로 날려버릴 테니 별 상관없겠군요. 한 개의 공중 유닛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함정입니다.


검은 풍선에 폭뢰를 달아 매설한 함정. 광역 피해를 주는 대공 폭탄과는 달리 단일 대상에게 엄청난 피해를 준다.[1] 마을회관 7레벨부터 설치할 수 있다.


2. 상세[편집]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eekingAirMine_1_2.png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eekingAirMine_3.png파일:Seeking_Air_Mine5.png
1 & 2레벨3 & 4레벨5레벨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공중)
반응 범위4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5000100만210만360만100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1일3일4일 6시간10일
공격력150018002100250028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79101315

마을 회관 레벨7891011121314
최대 설치 개수1245678

하나의 공중 유닛을 즉사시키는 것이 목적인 이 함정은 피해량 수치로 따졌을 때 그 어떤 방어 시설보다 강력한 위력을 지니고 있다.[2] 만렙 기준 단 한 번에 인구수 14 이하의 공중 유닛을 즉사시키고 라바 하운드를 제외한 인구수 20 이상의 공중 유닛의 체력을 반피 이하로 깎아버리며, 공중 최강의 맷집을 지닌 라바 하운드에게도 눈에 띄는 치명타를 가한다.

단일 공격 특성상 부대 단위로 투입되는 벌룬에게 발동되면 절반이 넘는 피해량이 증발되어 별 효과를 볼 수 없다. 또한, 상황에 따라 살아남을 수 있던 라바 하운드에게 막타를 가해 라바 펍 한 부대가 생겨나고, 그 라바 펍에 의해 마을이 초토화되는 웃지 못할 상황을 연출하기도 한다.

반면, 힐러, 드래곤 계열의 유닛, 그랜드 워든에게는 효과적인 방어 수단이 된다. 유닛의 레벨과 대공 지뢰의 레벨에 따라 이 유닛들이 일격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1~5레벨 힐러는 1레벨 대공 지뢰에, 1~29레벨 그랜드 워든은 2레벨 대공 지뢰에, 30~36레벨 그랜드 워든은 3레벨 대공 지뢰에, 37~53레벨 그랜드 워든은 4레벨 대공 지뢰에 일격사한다. 그랜드 워든의 최고 레벨인 55레벨도 4레벨 대공 지뢰를 맞으면 체력이 겨우 40 남는다. 1~2레벨 드래곤은 3레벨 이상의 대공 지뢰에 일격사하지만 이는 매우 극단적인 상황이다.

라벌 조합을 막는 방어 배치 전략으로서 대공포 근처에 2개 가량의 대공 지뢰를 뭉쳐놓는 전략이 있다. 라벌 조합은 대공포 2개를 보고 공격을 가는 전략으로 각각의 대공포에 라바 하운드를 1기씩 투입하고 그 뒤로 벌룬을 투입하는 식으로 운용하는데, 양쪽의 라바 하운드와 벌룬의 체력, 생존 정도를 비슷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대공 지뢰 2개를 한쪽 대공포에 뭉쳐놓으면 그쪽 대공포로 날아가는 라바 하운드가 일찍 죽을 것이고, 결과적으로는 그 뒤에 따라오는 벌룬들이 대공포의 공격을 받기 쉬워진다.

대공 지뢰는 미니언, 라바 펍, 박쥐를 감지할 수 없는데, 이는 체력이 높은 공중 유닛을 막는 용도에 충실하기 위함이다.

대개 한 판에서 퀸힐러 전략이 종료되는 시점은 아처 퀸에 붙인 힐러가 대공 지뢰에 죽어나가면서 아처 퀸의 체력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다. 퀸힐러를 안정적으로 굴려서 기지 안쪽의 주요 건물들을 파괴하려면 적당히 대공 지뢰의 위치를 파악하고 벌룬으로 대공 지뢰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퀸힐러 조합에서는 벌룬 여러 기를 반드시 가져가게 된다.

싱글 모드 인페르노 타워를 섬 형태로 배치한 다음 그쪽은 아처 퀸이 오지 못한다는 것을 이용해 다른 쪽 외곽에 대공 지뢰를 뭉쳐놓아 퀸힐러를 망하게 하는 안티 퀸힐 배치가 많지만 대부분 이를 예상하고 벌룬으로 대공 지뢰를 전부 제거한 뒤 아처 퀸과 힐러를 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이를 생각하지 못했거나 대공 지뢰를 한쪽에만 여러 개, 그것도 적당히 분산시켜서 배치한 경우 효과를 볼 수도 있다. 무엇보다 아처 퀸이 어디로 들어올지 알 수 있다는 것은 큰 전략적 이점이다.

대공 폭탄과 마찬가지로 사용된 후에는 풍선의 공기가 빠진 채로 방치되어 있다.


3. 업데이트 내역[편집]


2015년 2월 24일 업데이트로 더 이상 힐러를 공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2016년 8월 25일 업데이트 이후 다시 힐러를 공격한다.

2019년 12월 13홀 업데이트로 4레벨 대공 지뢰가 추가되었다.

2020년 봄 업데이트로 2, 3레벨 대공 지뢰의 업그레이드 비용이 감소하였다.

2022년 5월 업데이트로 4레벨 대공 지뢰의 피해량이 100 증가하였다.

2023년 6월 업데이트로 5레벨 대공 지뢰가 추가되었다.


4. 기타[편집]


지뢰는 땅에 매설된 폭발물을 의미하는데, 대공 지뢰는 독특하게도 땅에 매설되어 있다가 덮개를 열고 공중으로 날아오르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뢰라는 이름의 의미는 해치지 않는 모양이다.[3] 사실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것이 지뢰를 뜻하는 영어 단어 mine은 지뢰뿐만 아니라 수뢰, 기뢰 등 '뢰'자로 끝나는 모든 무기를 일컫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22:17에 나무위키 대공 지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레벨 기준 무려 1500이라는 매우 높은 피해량을 자랑하는데, 이는 대공포와 독수리 포탑도 1레벨에 기록하지 못하는 수치이다. 대형 폭탄조차 만렙 기준 피해량이 400이고, 싱글 모드 인페르노 타워도 1레벨 기준 최대 DPS가 1000이다. 다만, 대형 폭탄은 광역 피해를 주기에 상황에 따라 대공 지뢰보다 큰 피해를 줄 수도 있다(1레벨 대형 폭탄의 피해량이 175이므로 9기 이상의 유닛에게 발동되면 1525로 대공 지뢰보다 높아진다.).[2] 공식적인 수치가 없는 점핑 트랩은 논외로 한다.[3] 반면, 장인 기지의 지뢰와 메가 지뢰는 매설하지 않는다.